무선충전 방식 차이, 유도식 (Inductive) vs 공진식 (Resonant)
2025. 4. 12. 02:05ㆍ뚝딱이의 공부/장비제작
1. 공통점: 자기장을 이용한다
- 송신기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생성됨
- 이 자기장이 수신기 코일을 통과하면서 전자기 유도를 일으켜 전압이 유도됨
- 이 원리는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Faraday's Law)에 기반
2. 차이점: “어떻게 자기장을 이용하느냐”
Inductive Charging | Resonant Charging | |
자기장 이용 방식 | 단순 유도: 가까운 거리에서 강한 자기장 유도 | 공진 유도: 공진기끼리 주파수를 맞춰 자기장 공명 유도 |
효율 범위 | 가까울 때만 효율 높음 | 거리가 멀어도 공진 주파수 맞추면 효율 유지 |
자기장 범위 | 국소적, 짧음 | 상대적으로 넓게 퍼짐 (공진 범위) |
3. 스마트폰 무선 충전은?
- 표준: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Qi(치) 표준을 따르는데, 이건 자기 유도(inductive coupling) 방식
- 구성: 충전기 내부와 핸드폰 내부에 각각 평평한 코일이 들어 있음.
- 작동: 충전기에 전류를 흘리면 코일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이 가까이에 있는 핸드폰 코일에 전류를 유도함.
- 거리는 짧게, 정렬은 정확히 해야 함.
'뚝딱이의 공부 > 장비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사의 크기 (직경) 표 (0) | 2023.03.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