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2023. 1. 4. 16:58ㆍ뚝딱이의 공부/논문작성
https://phdkim.net/board/free/27703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 김박사넷 커뮤니티
저는 학사/석사 spk중 하나를 졸업하고, 유럽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후 현 세계 랭킹 20위권 안의 모 대학에서 연구 중인 포닥 연구원입니다. 지금 일하는 연구실은 매년 CNS 중 하나가 한편씩은 나
phdkim.net
위 글을 공유합니다.
많은 생각이 들어간 글이라고 생각함. 참고해야 할 것이 많으며, 나도 대가랩과 같은 생각을 해야 할 것 같음.
여태 까지는 남들이 하지 않은 재미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논리적으로 풀어내면 좋은 연구가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음. 하지만 이런 논문들은 재미는 있지만, 남들이 갖다 쓰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 같음. 한마디로 연구를 산업에 적용하기에 어려움. (일례로 내가 생각한 나의 재미있는 논문은 인용되는 횟수가 매우 적음.) 운이 좋다면, 어떤 상황과 맞물려 인기가 있을 수 있겠지만...
따라서 주제를 선정할 때는 누군가의 필요를 정확히 인식하고 그것을 개선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음.
'뚝딱이의 공부 > 논문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에서 수식의 형식 (Format of equations in paper) (0) | 2023.12.13 |
---|---|
Hindawi 제출 확인 (0) | 2023.02.17 |
구글 학술검색 (Scholar) 새 탭에서 열기 설정 (1) | 2023.01.26 |
Graph 용어 (0) | 2023.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