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1)
-
CHAT GPT 써보기
https://openai.com/blog/chatgpt/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hich interacts in a conversational way. The dialogue format makes it possible for ChatGPT to answer followup questions, admit its mistakes, challenge incorrect premises, and reject inappropriate requests. ChatGPT is openai.com 오늘은 처음으로 ChatGPT를 사용해 보았다. 뉴스나 유투브에서 많이 접했지만 감히 사용할..
2023.02.14 -
구글 학술검색 (Scholar) 새 탭에서 열기 설정
구글 학술 검색 (scholar.google.co.kr)에 들어가서 검색어를 친 후 논문을 클릭하면, 새 창에서 열리지 않는다. 탭 창이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으나, 여러 논문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자꾸 뒤로가기를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음.. 이는 크롬 설정에 들어가서 새 탭으로 열기 설정을 하더라도 설정이 변경되지 않는데, 이는 scholar.google.co.kr에서 직접 설정 변경을 해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scholar.google.co.kr에 들어가서 좌측 三 모양을 클릭한 뒤 설정을 누른다. 검색결과 여는 창 체크를 하면 끝. 단순하지만 막상 방법을 찾으려니 막막했다... 새 탭에서 잘 열림...
2023.01.26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https://phdkim.net/board/free/27703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 김박사넷 커뮤니티 저는 학사/석사 spk중 하나를 졸업하고, 유럽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후 현 세계 랭킹 20위권 안의 모 대학에서 연구 중인 포닥 연구원입니다. 지금 일하는 연구실은 매년 CNS 중 하나가 한편씩은 나 phdkim.net 위 글을 공유합니다. 많은 생각이 들어간 글이라고 생각함. 참고해야 할 것이 많으며, 나도 대가랩과 같은 생각을 해야 할 것 같음. 여태 까지는 남들이 하지 않은 재미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논리적으로 풀어내면 좋은 연구가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음. 하지만 이런 논문들은 재미는 있지만, 남들이 갖다 쓰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 같음. 한마..
2023.01.04 -
Graph 용어
논문 그래프에서 각 부분을 지칭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아래 링크에 더 자세한 설명이 있으니 참고. https://www.dlsi.ua.es/~japerez/cursos/ceptc/02-making-tables-figures.pdf
2023.01.03 -
곡률 공식 증명
위는 곡선 C: r벡터로 표현된 곡선에서 곡률을 구하는 공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 블로그에 잘 증명이 되어 있으니 참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indo1103&logNo=90103467360
2023.01.03 -
공학이란 무엇인가?
공학이란 무엇일까? 위키피디아에서 찾아보면 공학이란 다음과 같다. 공업 분야의 응용과학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또는 과학적, 경제학적, 사회적 원리와 실용적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 도구, 건축물 · 조형물, 시설 등을 만드는 것에 관한 학문 다른 글에서는 '문제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학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일상생활에서 문제가 되거나 불편함이 되는 것을 해결하는 학문인 것이다. 어렸을 적부터 위에서 말한 공학이란 것에 꿈을 가졌다. 죽기 전에 무언가 만들어서 세상을 이롭게 하자. (아이언맨처럼!) 그런 마음으로 대학을 왔고 대학원을 왔다. 하지만 '내가 무얼 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은 대학원 졸업 후에도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문제는 많이 부족함을 느끼고 있음에도, ..
2022.11.29